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

변형 베르누이 방정식, Modified Bernoulli Equation, 심장의 프랭크 스탈링 법칙, Frank-Starling Law of the Heart, 후부하, Afterload, 전부하 preload, 심장의 혈류역학적 매개변수 변형 베르누이 방정식 (The Modified Bernoulli Equation) 1738년에 Daniel Bernoulli은 유체의 속도와 압력 사이의 중요한 관계를 기술했습니다. 가장 간단한 용어로 그것은 에너지가 생성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단순히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환된다는 점에서 에너지 보존의 법칙과 유사합니다. 유체역학에서, 베르누이 원리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 때(= 운동 에너지의 증가), 시스템의 총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그에 상응하는 위치 에너지(= 압력)의 감소가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심장 초음파 검사에서 Bernoulli Equation은 협착성판막 전체의 압력 감소를 예측하기 위해 변형된 형태로 적용됩니다.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혈액 속도는 좁은 구멍을.. 2023. 4. 10.
심실, cardiac chamber, 심장 판막, cardiac valves, 심장 주기, cardiac cycle, 심장의 전기 전도 시스템, Heart's Electrical Conduction System, 심전도, Electrocardiogram 심실 (The Cardiac Chambers)과 심장 판막(The Cardiac Valves) 좌심실은 가장 크고 가장 근육이 많은 방입니다. 좌심실의 압력은 120/80 mmHg(수축기/이완기)에서 심장에서 가장 높습니다. 우심실은 좌심실보다 약간 작고 근육량이 적습니다. 혈액을 폐로 보내는 데 더 적은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축기 혈압은 약 25mmHg에 불과합니다. 두 개의 심방은 더 작고 해당하는 심실보다 위에 위치합니다. 우심방의 압력은 0-5mmhg 범위에서 가장 낮습니다. 압력은 좌심방도 5-10 mmHg로 낮습니다. 또한 심장에는 4개의 판막이 있습니다. 심방실 밸브(방실판막) (A-V)는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합니다. 우측 A-V 밸브는 삼첨판 밸브입니다. 그것은 세 장의 겹잎을 가지.. 2023. 4. 9.
발살바 법, valsalva maneuver, 심장 순환, cardiac cycle, 중심 정맥 파형, central venous waveform, 심장혈류역학, cardiac hemodynamics 발살바 법 (Valsalva Maneuver) 엄밀히 말하면 valsalva 법은 닫힌 성문에 대한 강제 호기입니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이것은 환자에게 "억제하라 (bear down)"고 요청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습니다. 정맥혈역학에 대한 valsalva 법의 가치는 흉강내압과 복강내압을 극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입니다. 그 결과, 환자가 "힘을 들여 하강하는" 동안 검사자는 전방 정맥류의 급격한 감소와 정맥 직경의 증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간단한 조작은 알려지지 않은 혈관이 정맥인지 동맥인지 판별하려고 할 때 유용할 수 있습니다. 동맥흐름은 동작에 반응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것은 또한 무능한 정맥 판막의 검사에 유용한 방법입니다. (유능한 판막은 발살바에 대한 반응으로 역류 흐름을 방지합니다. 역행 .. 2023. 4. 8.
정맥혈류역학, venous hemodynamics, 근육 펌프, muscle pump, 호흡 respiration, 정맥 환류, venous return 정맥혈역학(Venous Hemodynamics) 정맥 쪽의 혈관은 정맥과 세정맥으로 구성됩니다. 혈액은 모세혈관을 떠나 작은 세정맥으로 들어간 다음 함께 합쳐져 점점 더 큰 정맥을 형성합니다. 전신 정맥혈의 최종 목적지는 심장의 우심방입니다. 정맥에는 또한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련의 이첨판 밸브(판막)가 있습니다. 정맥계에서는 동맥측보다 압력이 훨씬 낮습니다. 압력 기울기는 약 8-10mmHg에 불과합니다. 혈액은 약 10mmHg의 압력으로 모세혈관을 빠져나와 압력이 0-2mmHg에 불과한 우심방으로 흐릅니다. 이것은 많은 압력 기울기가 아닙니다. 그러나 정맥이 심장에 가까워짐에 따라 직경이 증가하기 때문에 흐름에 대한 저항은 거의 없습니다. poiseuille의 법칙을 기억하세요. 혈관의 반.. 2023. 4. 7.
폐색 전 협착, pre-occlusive stenosis, 동맥 폐색, arterial occlusion 폐색 전 협착 (Pre-occlusive stenosis) 동맥 협착에 대한 이전의 논리에 따라 우리는 폐색 전 협착 내의 혈액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폐색전 협착증에서 혈관 내강은 너무 작아서 혈액이 낮은 속도로 작은 입구를 통해서만 "흡입"할 수 있습니다. 혈관 내강이 좁아짐에 따라 협착증의 혈액 속도에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보십시오. 경미한 정도의 협착증에서 혈액 속도는 본질적으로 정상입니다. 협착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협착의 혈액 속도도 증가하여 높은 등급의 협착에서 매우 높은 속도를 감지하게 됩니다. 그러나 그래프를 보면 직경 감소 정도가 90%를 초과하기 시작하면서 혈류 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폐색 전.. 2023. 4. 6.
혈류역학적으로 유의한 협착 혈역학적으로 유의한 협착 혈역학적으로 유의미한 협착증에서 내강 협착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매우 심각합니다. 일반적으로 혈관 내강으로의 직경 감소는 50-60%보다 큽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는 혈관마다 그리고 병리학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이러한 유형의 협착이 있는 혈관을 표본으로 추출하면 어떻게 될까요?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협착 혈관의 네가지 부분 위치 1: 협착증 근위부. 이 위치에서 우리는 정상 저항 패턴보다 더 높은 것을 감지할 것으로 예상할 것입니다. 하류 내강은 협착으로 인해 상당히 좁아집니다. poiseuille의 법칙은 이것이 흐름에 대한 저항을 극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 결과, 혈역학적으로 유의한 협착에 근접한 파형의 이완기 구성요소는 높은 저항 패턴(확장기 .. 2023. 4. 5.